수행의 핵심 _ 공부가 열리는 과정 율려律呂의 원음이 옴과 훔이다. 그게 태을주太乙呪이다. 우주의 본성은 소리와 파동과 빛으로 구성돼 있다. 그 근원은 우주의 중심 소리요 조화 소리인 율려성律呂聲이다. 그 율려 소리는 태극의 음양 이치로 옴과 훔으로 구성돼 있다. 수행의 자세 수행공부의 모든 문제는 잡념을 어떻게 끊고 집중하느냐에 달렸다. 다시 말해 보통 수행자의 과정이라는 것은 생각의 불덩어리에 매달려서 그것하고 싸우다가 다 끝장나는 거다. 그러니 잡념이 일어날 때는 한 생각으로 그걸 깨뜨리고 주문 읽는 데 집중해서 몰입을 해야 한다. 마음을 놔 버려야 한다. 집착을 하지 말아야 한다. 과거에 이루지 못한 것, 슬폈던 것, 고생했던 것에 매여 있으면 안 된다. 수행할 때는 과거로부터 자기 자신을 풀어놓..
영보국정정지법(靈寶局定靜之法) - 천지조화 태을주 수행법 - 수행의 근본 주제는 '마음'이다. 마음만 닦아서 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원형인 본성本性nature과 명命life을 함께 닦아야 한다. 우리 민족의 문화 원형인 삼신문화에서는 성명정性命精을 말한다. 여기서 성性을 신神으로 말하는데 곧 원신元神primordial spirit이다. 우리 전통 수행문화에서는 성명정性命精이 곧 신기정神氣精이다. 궁극의 영적 진화를 한 사람, 진정한 깨달음을 성취한 사람을 일러 태일太一이라 한다. 동서고금의 신비주의, 수행문화의 최종 목적인 궁극의 깨달음 즉 도통의 주제가 바로 태일이다. 이 태일을 이루게 해 주는, 대우주 신도세계에서 가장 존귀하신 분을 동방의 유불선에서는 태고로부터 태일신太一神 또는 태을太乙로 말하..
'마음'이 만든다, 모든 것을... 세계적인 힐링 멘토이자 명상전문가로 알려진 디팩 초프라Deepak Chopra의 저서 『마음의 기적』은 통상적으로 사람의 내면에서 지각 능력을 주관하는 추상적 존재 정도로 떠올리는 ‘마음’이라는 것을 보다 구체적인 관점에서 ‘자아 발전과 건강 창조에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실체’로 그리고 있는 책이다. 디팩 초프라는 인도 뉴델리 태생으로 세계적인 영성문화의 대가이자 미국의 저명한 의학자이다. 고대 인도의 전통 치유과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와 현대의학을 접목하여 ‘심신의학’(Mind-body Medicine)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창안해 미국과 유럽 사회에 심신의학 열풍을 불러일으킨 장본인이다. 『마음의 기적』은 '마음'이 병을 만들고(1장), '마음'이 정신을 병들게 ..
마음의 힘 _ 감사 인간의 가장 중요한 의무는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에 잠재된 능력을 아는 것이다. 그렇게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되면 다른 사람의 가치도 인정할 수 있다. - 스와미 묵타난다 (Swami Muktananda) - 진정한 감사란, 순간순간 경험하는 삶의 기적들을 향해 자연스럽게 나오는 표현이며 욕망에 집착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의 풍요로움을 마음속 깊은 곳으로부터 느끼는 것이다. 감사할 때는 분노나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지 않는다. 감사란 오직 사랑, 동정, 기쁨,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만을 불러일으킨다. 감사의 마음을 가지면 그것을 실천으로도 옮기게 된다. 마음은 행동의 밑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감사 Thanks』 _ 인생을 긍적적이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힘 중..
마음 닦는 요체 _ 성명정 성명정性命精의 원리와 신神·기氣의 상호관계 「삼일신고(三一神誥)」 중 인물(人物)장 삼일신고는 1장 허공, 2장 일신, 3장 천궁, 4장 세계, 5장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의 옛 판본은 이 같은 다섯 개 장으로 나뉘지 않았는데 나중에 고려 말에 행촌 선생이 5개 장으로 나누고 제목을 붙였다. 인성론과 수행론의 핵심이 담겨있는 5장을 소개한다. {원문} _ 第五章(제오장) 人物(인물) 一百六十七字(일백육십칠자) 人物(인물)이 同受三眞(동수삼진)이나 惟衆迷地(유중미지)하야 三妄(삼망)이 着根(착근)하고 眞妄(진망)이 對(대)하야 作三途(작삼도)니라. 曰性命精(왈성명정)이니 人(인)은 全之(전지)하고 物(물)은 偏之(편지)니라. 眞性(진성)은 善無惡(선무악)하니 上喆(상철)이 ..